환경부가 오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을 위해 내달 14일까지 전 국민이 참여하는 공개논의 토론회를 7차례에 걸쳐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11월 브라질에서 열릴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를 앞두고 환경부는 2035 NDC를 확정, 수립할 계획이다. 국민과 시민단체, 산업계 그리고 환경 전문가들과 공론화를 시작해 11월 초까지 유엔에 제출한다는 목표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는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제시됐다. 각국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을 0으로 만들기 위한 중간 목표(NDC)를 주기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한국은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를 감축하겠다고 약속
부산 한국은행 했다. 올해는 2035년 NDC 목표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제출해야 한다. 현재 국회에는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2035 NDC 하한선 60%와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61%로 설정한 탄소중립기본법 개정안이 발의돼 있다. 개정안대로 2035 NDC가 60%대로 설정되면 산업계 반발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
우체국 공인인증서 는 현재 각계에서 논의되는 2035 NDC 안을 4가지로 공개했다. 첫째, 산업계 등은 2035 NDC를 40%대 중후반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는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수준을 유지하는 수준이다. 이 안대로라면 탄소중립 목표 연도인 2050년에 가까워질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 많이 줄여야 한다. 둘째, 선형 감축 경로는 2050년까지 매년 감축률을 일
농협대학커트라인 정하게 유지해 2018년 대비 53% 감축이다. 셋째,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제시한 감축률인 61%다. 넷째, 기후환경단체 등 시민사회 일부에서 요구하는 67% 감축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이러한 4가지 감축 경로를 포함해 그간 제기된 모든
전세금상환 쟁점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 주권에 부합하는 범국민 공개 논의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런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은 '최대 배출연도 대비 60% 감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후·에너지 정책 싱크탱크인 기후솔루션이 지난달 전국 주요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61.7%가 한국이 2035년까지
보금자리주택 60%를 감축하는 것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매우 동의'는 17.2%, '동의하는 편'은 44.6% 등으로 보다 강화된 배출가스 감축 목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 안에 동의한 이유로는 절반인 50.7%가 '폭염·홍수·산불 등 이상기후가 심각해져 적극적 대응이 필요'로 꼽았다. 이어 '미래 세대를 위해 지금 세대가 책임지고 줄여야 한다'(42.6%), '대응이 늦어질수록 비용·사회적 피해가 커진다'(40.0%) 등의 순이었다. 앞서 기후솔루션·미 메릴랜드대 공동 연구와 서울대·카이스트 공동 연구진들은 "한국이 2035년까지 60% 감축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김 장관은 "기후위기 대응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며 "국민과 함께 미래세대를 위한 책임감 있는 감축 목표를 설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원승일 기자 won@dt.co.kr
김성환 환경부 장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 토론회’. [환경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