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어린아이는 꽃과 풀, 나비를 가볍게 보고 넘기지 않는다. 우리는 어린아이처럼 꽃과 풀, 나비에 다가가야 한다. 선한 모든 것에 참여하고자 한다면 때때로 작아지는 법도 알아야 한다." (프리드리히 니체)
니체(1844~1900)의 사상을 간추려 엮은 책이 나왔다.
책 '스트레스 받는 사람들을 위한 니체'의 편저자 우르줄라 미헬스 벤츠는 브레히트, 아도르노, 벤야민 등 세계적인 지성들의 책을 소개해온 독일 유명 출판사 '주어캄프' 편집자 출신이다. 그는 니체의 전체 사상을 간추려 8장으로 묶고 352문장을 엄선해 스스로를 단단히 세우고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부산대학교 대학원 제시한다.
벤츠는 어떻게 하면 우리가 느낄 필요 없는 과도한 스트레스부터 벗어나, 더 잘 기뻐할 수 있는지 탐색한다.
그는 스트레스에 빠진 일반 대중을 위해 니체의 말을 빌려 "삶의 상황이 주는 부담에 대처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자신을 강한 인격으로 키우"고 "자신을 편하게 만들려는 습관적인 충동"을 이겨내 지속적으로
제테크방법 단련하라고 조언한다. 니체처럼 "필연적인 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볼 수" 있을 때 우리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모든 불만을 버리고, 더 잘 기뻐하는 법을" 배운다고 말한다.
"자기 자신에게 저지른 잘못은 다른 사람에게 저지르는 잘못보다 훨씬 견디기 힘들다.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는, 즉 안락함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종교와 도덕이 명하는 모든
핸드폰 할부회선 조회 것은 완전히 별도로 하고 타인이 내게 잘못하는 것 이상으로 내게 잘못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타인의 잘못을 겪을 때는 상대의 양심의 가책이 주는 위로, 복수에 대한 기대심, 정의로운 사람들, 즉 연민과 갈채를 사회 전체로부터 받을 수라도 있기 때문이다." (28쪽)
"사람들은 망각할 때만 선한 상태로 머무른다." "많은 것을 보기 위
보수청구권 해서는 자신을 단념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38쪽)
"고통에서 벗어나는 법은 두 가지다. 바로 빠른 죽음과 오랜 사랑이다." (39쪽)
"허물을 벗지 못하는 뱀은 파멸한다. 자신을 바꾸지 못하는 정신도 이와 마찬가지다." (70~71쪽)
"악습은 결코 원인이 아니다. 악습은 결과이다." (116쪽)
실습분야 엄선된 아포리즘(격언) 뒤에는 책의 번역자 홍성광의 해설 '니체와 초인은 누구인가?'를 수록해 니체의 핵심적인 철학 세계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니체가 걸어온 삶의 자취와 태도, 그의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스승들과의 관계, 니체의 주요 저작들이 집필 당시 그의 삶과 어떻게 맞물려 있었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맥락, 그리고 시기에 따른 철학 세계의 변천을 통해 우리는 니체의 모토에 더 가까워진다.
"천민이란 신분적 의미에서의 천민이 아니라 스스로 가치 창출을 못하는 인간, 즉 권력, 명예, 돈, 쾌락을 좇는 노예가 된 현대인을 말한다. 따라서 니체가 말하는 강자나 고귀한 자는 스스로 사물과 행동에 가치를 부여할 줄 아는 인간을 말하는 것이지 귀족이나 단순히 물리적인 힘이 센 자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224쪽, '해설' 중)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