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견작가 최선의 개인전 '물 위의 자리' 포스터
영천 시안미술관(관장 변숙희)이 2025년 하반기 특별기획전으로 중견작가 최선의 개인전 '물 위의 자리'를 9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오랜 시간 탐구해온 사회적 사건과 개인적 기억을 집약해 보여주며, 예술이 기록과 성찰의 장치로 작동하는 방식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 acrylic on canvas, 194 x 130 cm, 2016
전시 제목 '물 위의 자리'는 흔적과 흐름이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동시에 담고 있다. 최
여성직업군인 선은 사회적 폭력과 상실, 그리고 개인의 기억이 남기는 표식을 포착하면서도, 불확실한 미래를 향해 열려 있는 예술의 태도를 보여준다.
물은 언제나 움직이고 사라지는 듯하지만, 동시에 표면에 흔적을 남긴다. 작가는 바로 그 흔적 속에서 오늘의 시간을 붙잡고, 내일을 준비하는 기호를 찾아낸다.
개인회생자대출
▲ acrylic on canvas, 194x130cmx2(120F), 2022
전시 서문 '침묵에 비친 증언들'은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문장을 인용하며 시작된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 그러나 최선의 작업은 이 침묵을 곧바로 공백으로 두
환승센타 지 않는다. 언어가 닿지 못하는 자리, 제도의 기록에서 삭제된 폭력의 흔적을 캔버스와 물질로 다시 불러낸다.
▲ acylic on canvas, 130 x 194 cm, 120F, 2025
세월호 참사 당시 그는 캔
아파트담보대출조건 버스를 바닷물에 담가 소금 결정이 맺히도록 했다. 그 결정은 침몰한 배와 사라진 사람들의 흔적을 응축한 표면이 되었다. 故 백남기 농민 사건에서는 캡사이신을 캔버스에 직접 칠해 국가 폭력이 남긴 흔적을 각인시켰다. 구제역, 구미 불산 누출 사건에서도 제도의 언어가 은폐한 고통을 재료로 끌어와 작품에 고정시켰다.
최선은 사회적 폭력이 몸에
주택담보대출금리 남긴 상처, 신체로부터 흘러나온 흔적에도 주목한다. '멍든 침', 학생들과 함께 씹은 껌 등은 제도 밖에서 생성된 가장 직접적인 회화적 언어로 기능하며, 타자의 고통을 드러내는 증언이 된다.
▲ 최선, 독산회화, 2021, 버려진 LED, 가변설치
작가는 또한 무연고 유골, 산업 유산, 항암제 같은 재료를 사용해 '사라졌으나 여전히 남아 있는 것들'을 현재의 시간 속으로 불러들인다. 이러한 시도는 예술이 과거를 완전히 복원하는 대신, 유예된 질문으로 현재와 공존하게 하는 방식이다.
선의 작품은 단순히 과거를 회고하지 않는다. 타자와의 관계, 공동체의 불안정성을 직시하며, 언어로 환원되지 않는 영역에서 질문을 던진다. 외국인 노동자, 이주민의 호흡을 함께 불어넣은 캔버스, 남북 분단과 정치적 낙인의 시선을 차용한 '멀미' 같은 작업은 정체성과 관계의 경계를 흔드는 실험이다.
▲ acrylic on canvas, 204x560cm, 2019
관계는 고정된 답이 아니라 끊임없이 흔들리고 불완전한 상태로 존재한다. 작가는 그 흔들림 자체를 시각화하며, 침묵의 자리를 새로운 증언의 틈으로 열어둔다.
시안미술관은 "이번 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이 사회와 개인의 경험을 어떻게 예술로 사유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리"라며 "최선의 지속적 실천을 통해 예술이 현재의 시간을 붙잡고 내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